본문 바로가기

HUFF

레드벨벳 세계관 연구

 

 

 

 

 

 







 

 

 


 

CHART

 

 Theme


 

 

 

 

 

 

 

0

 

애들 뮤비를 해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까 싶어서 지금까지 나온 곡들의 뮤직비디오를 총집합해본 단순한 목적의 노트

과대망상이나 과대해석으로 보인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도 된다

 

 

 

 

 

 

 

 

Theme (테마)

- 주제




Tale (동화)

어린이를 위하여 동심을 기초로 해서 지은 이야기로서 아동문학의 한 부문

 


레드벨벳의 컨셉이나 가사들을 보면 동화 속 이야기를 모티브 삼은 부분이 많이 보임

가장 대표적으로 유명한 게 덤덤 (거울 나라의 앨리스)이랑 허프앤퍼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이고 7월 7일 (견우와 직녀)임. 물론 7월 7일의 뮤직비디오 내용은 다르지만 7월 7일이라는 날짜 자체가 이미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와 관련된 날짜라 전체적인 틀은 동화 속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음


괜히 이것저것 섞다보면 어려워지니까 모티브가 된 동화를 최대한 시간 순으로 적겠음






○ 가구야 공주




미니 앨범 2집 THE VELVET 의 전체적 컨셉이다.

THE VELVET 은 김민주라는 디자이너에게 맡겨졌는데 민희진 실장이 김민주 디자이너의 2016 S/S 컬렉션인 문 가든 (Moon Garden) 을 보고 연락을 해 7월 7일의 스타일링을 부탁했고 김민주 디자이너는 이 컬렉션을 기반으로 멤버들의 몸에 맞춰 의상을 제작했다고 본인이 인터뷰에서 언급했었다. 이 문 가든이 바로 가구야 공주의 설화를 모티브로 만든 컬렉션이다.


가구야 공주의 원작은 타케토리모노 가타리라는 일본 설화인데 대나무에서 나온 달의 나라 공주의 이야기를 담은 아름다운 설화이다.






○ 견우와 직녀




7월 7일의 노래 모티브가 되는 전래동화

견우와 직녀가 일을 하지 않고 서로를 만나 사랑만 한 벌로 헤어져 칠석에만 만날 수 있게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7월 7일 뮤직비디오가 끝나면 레드벨벳과 SM의 로고가 뜨기에 앞서 7월 7일이라는 로고가 먼저 등장한다.



잘 가 서툴게 인사하고 
뒤돌아서 오는 길은 
참 멀기도 하다 


은하수 너머에 아득히 먼 곳에 
하얀 우리의 기억을 건너는 나 
꿈속이라도 괜찮으니까 
우리 다시 만나 


기다림은 내겐
사소한 일일 뿐인 걸



가사를 살펴보면 뒤돌아서서 오는 길, 은하수 너머, 우리 다시 만나, 기다림 이라는 등 견우와 직녀의 동화 속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 등장한다. 7월 7일의 뮤직비디오 내용은 세월호 등의 해석을 나타내지만 7월 7일 자체의 모티브는 견우와 직녀이다.






○ 라푼젤




THE VELVET 의 자켓 사진에서 예리의 컨셉 모티브로 등장했다.

긴 금발머리와 코르셋이 들어간 보라색 드레스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분홍색 드레스를 입고있어 라푼젤을 연상시킨다.








○ 미녀와 야수





THE VELVET 자켓 사진에서 슬기의 모티브가 벨이었다. 

머리에 꽂고 있는 꽃은 의견이 아직도 분분한데 튤립이라는 말도 있고 미녀와 야수에서 등장하는 장미라는 말도 있다. 슬기가 들고있는 촛불은 미녀와 야수에서 등장하는 촛대를 모티브로 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번 앨범 루키의 자켓 사진 속 의상과도 유사하다.







○ 빨간 구두





빨간 구두처럼 절대 멈출 수 없게


THE RED 의 수록곡 Red Dress 에 등장하는 가사이다.

Red Dress는 대부분이 남자를 유혹하는 당당한 여성상의 가사인데 이 가사에서만 빨간 구두를 떠올리게 한다.


실제로 빨간 구두의 스토리는 가난한 집안의 미모의 소녀가 부잣집에 입양되었는데 빨간 구두를 신고 무도회에 갔다가 구두가 벗겨지지 않아 끊임없이 춤을 추게 되고 결국 사형 집행인의 도끼로 발목을 잘라 버리게 되는 어린아이가 읽기에는 다소 충격적인 스토리이다. 








○ 백설공주



THE VELVET 에서 아이린의 개인 티저 뒤에 사과가 등장했는데 사과는 보통 백설공주가 먹고 잠에 빠져들게 만드는 매개체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특이하게 사과를 등지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그 다음 자켓사진을 보면 어항 속에 사과가 있는데 그 사과를 손으로 집고있다. 물 속에 사과가 떠있다. 그런데 아이린은 사과를 보지 않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백설공주의 독사과임을 받아들이고 있다 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 샬롯의 여인


샬롯의 여인은 아더왕 이야기에서 착안된 그림인데 화가들에게 사랑받는 주제이다.

원탁의 기사 중 한명인 렌슬롯과 사랑에 빠진 샬롯성 영주의 딸의 이야기인데 샬롯의 여인은 신의 저주를 받아 거울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테피스트리를 짜고 있다.




7월 7일 뮤직비디오 속 아이린은 거울 속에서 눈을 떼지 않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이 두 그림은 샬롯의 여인을 묘사한 명화이다. 이 그림을 보면 떠오르는 장면이 있는데




바로 이 장면

예리의 이 장면은 샬롯의 여인을 모티브로 한 장면인 것 같다.







○ 엄지공주



저 꽃이 미녀와 야수의 장미라는 말도 있지만 튤립에 가까운 모습이라 엄지공주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 오즈의 마법사


정규 1집 THE RED 에 수록된 Cool World 의 가사에서 등장했다. 그것도 비유도 아닌 완전 직설적으로 등장했다.


아끼던 구두를 신을까 생각해 
원하는 곳에 데려다 준다고 하잖아 
오즈의 도로시처럼 나





보통 다들 빨간색 루비 구두라고 알고 있는데 사실은 은으로 만들어진 구두이다.





영화에서도 빨간 구두로 묘사되긴 했다.





그 외에 오즈의 마법사를 모티브로 한 것은 스쿨오즈 캐릭터 도로시뿐....






○ 인어공주




오토매틱 작사가 존잘림 피셜 오토매틱의 가사는 사랑에 빠진 인어공주를 묘사한 곡.


잠시 흐트러진 소리가 너를 닿아 
사랑이란 진실을 모두 말하게 됐어


I love the way 네 곁에 나의 발을 맞추고 있어
이미 정해진 It just comes Automatic
계속 너의 공간에 함께 머물고 싶어
It just comes so natural It just comes Automatic



'흐트러진 소리' 가 진실을 말하게 됬다는 부분이라던지 계속 너의 공간에 함께 머물고 싶다는 부분을 보다보면 인어공주를 모티브로 한게 맞다는 느낌이 들긴 한다. 물론 처음에는 아니었지만




그리고 그 후에 한번 더 인어공주를 모티브로 한 컨셉이 나타났는데 바로




웬디의 7월 7일 티저 사진이다.

인어공주를 연상시키는 옷을 입고 인어공주 아리엘을 연상시키는 빨간머리를 한 모습으로 바다같은 파란색을 배경으로 한 채 서있는 모습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인어공주같다는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웬디가 입은 저 스커트는 '머메이드 스커트' 의 형태인데 다리를 보이지 않게 해 더욱 인어공주같이 보이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티저 사진을 보다보면 웬디는 유독 하반신이 등장하지 않는다.

바닥에 엎드려있는 모습인데 인어공주가 인간이 되기 위해 다리를 포기했고 잘 걷지 못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여기서도 의자에 앉아서 누군가가 내미는 컵을 외면한 채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저 손은 조이의 손인데 저 의자도 나중에 조이가 밟고 선다.







그리고 웬디가 뭔가를 마시는데 반짝이...? 또는 구슬같은 느낌을 준다.

대부분 이게 마녀가 준 목소리를 빼앗는 약이라고 추측하던데 이 반짝이가 에쎔 뮤비에서 등장한 것은 그 전에 이미 한 차례 있었다.





태연이 그 전에 Rain 뮤직비디오에서 미리 제조했었다.


저기에 나오는 저 둥글둥글한 어항은 아이린이 가지고 있던 어항과도 비슷한 모습이다.











○ 잠자는 숲 속의 미녀


Oh Boy 잠든 날 깨워준 너 Eh


오직 널 담으려 감은 눈을 뜨고


Oh Boy 숨겨진 나를 깨워줄래 


Oh 운명은 살짝 부족해 이건 기적인 걸 
꿈보다 멋진 현실 앞에 Yeah
더 이상 잠들지 못해 처음 깨어난 이 맘을 


THE RED 의 수록곡 중 하나인 Oh Boy 의 가사 모티브로 등장한다.

상대방을 담으려 눈을 뜨고 앞으로 잠들지 못한다고 레드벨벳은 말하고있고 가사를 살펴보면 상대방이 레드벨벳을 깨워준 것을 알 수 있다.



유리 구두 아니 운동화에 
(Ah ah ah ah) 
물레 바늘 찔린 손에는 밴드 
(Hey hey hey)
보석 같은 건 나랑 안 어울려 
Oh yeah 이런 나도 
구해줄 사랑할 분 없나요


땡 하고 열두 시가 돼도 
난 곁에 네 곁에 


Happily ever after
왕자가 아니라도 좋아 


Rookie 의 수록곡 중 하나인 Happily Ever After 의 가사에도 등장한다.

신데렐라와 함께 모티브가 되는데 아예 동화의 재해석 수준으로 인용된다. 유리구두 대신 운동화, 찔린 손가락에 밴드를 감고 열두시가 지나도 곁에 남고 왕자가 아니라도 좋다는 말에서 당당한 신여성같은 마인드를 보여준다.





QUOTE

인용하다






○ 잇치 앤 스크래치



애니메이션 심슨에 등장하는 극중극.

파란 쥐 이치와 검은 고양이 스크래치의 슬랩스틱 코미디로 은근히 톰과 제리를 비꼬는듯한 애니메이션이다. 러시안 룰렛의 뮤직비디오는 다소 잔인한 장면들이 많은데 서로를 물 빠진 수영장에 밀어버리거나 공을 던진다던지 캐비넷을 밀어 넘어뜨린다던지 하는 잔인한 장면들을 모두 이 애니메이션으로 대체했다. 


원래는 막 빨간 물이 튀기고 순대같은게 날아다니는데 흑백처리를 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덜 잔인해 보였다. 하지만 원작을 보면...


러시안 룰렛 뮤직비디오 속의 분위기를 환기시켜 줌과 동시에 더 으스스하고 소름돋게 만드는 부분이다.






○ 위자 보드 (Oujia Board)




서양판 분신사바라고 보면 되는 게임이다.

보드 위의 삼각형에 게임을 하는 인원이 다같이 손을 올리고 귀신에게 질문을 하는 게임인데 잘못하면 귀신이 붙는다고 하는 게임이다.




이 위자보드 게임은 덤덤의 뮤직비디오 초반에 등장하는데 멤버들이 동그란 원탁에 앉아 테이블 위에 손을 올리고 앉아있다.










○ 카고메 카고메




일본에서 유래된 어린 아이들의 놀이로 다소 섬뜩한 노래를 부르면서 술래의 주위를 빙빙 돌다가 노래가 끝났을 때 술래가 뒤에 서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아맞히면 술래가 바뀌는 놀이이다. 


카고메카고메
새장속의 새는
언제언제 나오나
새벽밤에
학과 거북이 미끄러졌다
뒤에 얼굴은누구



멜로디가 굉장히 무섭고 으스스한 편이다.

도시 전설에서도 이 놀이가 자주 등장하는데 술래와 뒤의 아이의 영혼이 바뀌게 만드는 놀이라는 도시 괴담도 있고 밀쳐져 넘어지면서 아이를 유산한 임산부의 한을 담은 노래라는 괴담도 있다.










CONCEPT (컨셉)

주된 생각




○ 초현실 주의


레드벨벳의 뮤직비디오를 보고있으면 마치 현실이 아니라 가상인것 처럼 느껴진다. 이런 것을 초현실주의 라고 한다.

레드벨벳의 컨셉이 초현실주의 인 것은 조이의 피셜로 확인되었다. 




대표적인 예시가 행복인데 행복에서는 데칼코마니 기법이 등장한다.

데칼코마니 (décalcomanie) 는 대표적인 초현실주의 표현 기법이다. 이성과 현실에서 벗어나 가상과 환상에 초점을 맞춰 뮤직비디오 속 배경인 정글에 환상의 효과를 더하고 있다. 



그리고 레드벨벳의 뮤직비디오에서는 대표적인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을 모티브로 한 장면들이 종종 나타난다.





△ 7월 7일 뮤직비디오 中 (좌) 르네 마그리트 잘못된 거울 (우)




△ 7월 7일 뮤직비디오 中 (좌) 르네 마그리트 금지된 재현 (우)



르네 마그리트는 대표적인 초현실주의 화가로 친근하게 낯설게 하기 등의 기법을 통해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을 표현해왔다. 레드벨벳의 뮤직비디오, 그 중에서도 특히 7월 7일은 초현실주의의 클리셰를 사용했다.



(수정 중)